서브 비주얼

청아병원은 가족같은 병원, 환자를 우선하는 병원을 지향합니다.

건강정보

[건강칼럼] 역류성 식도염


       청아병원 5내과 박상훈 진료부장

이전에는 우리나라에서 드문 질환으로 생각되었던 위식도 역류질환이 이제는 진료에서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는 질환이 되었다. 최근에는 명치 통증, 명치 속쓰림을 위의 질환보다 위식도 역류질환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만큼 질환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위식도 역류질환은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여 일으키는 불편한 증상들의 발생 상태 정의된다. 점막파괴란 식도 점막에 미세한 손상이나 궤양이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내시경 검사에서 식도의 점막파괴가 관찰되는 경우에 물론 역류 관련 증상이 있을 수도 있지만 전혀 증상이 없을 수도 있다.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들중 식도 점막에 병리조직학적인 변화가 초래된 것이 증명되는 경우에는 역류성 식도염이 있다고 할 있다.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들중 역류성 식도염이 있는 환자들은 4080%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위식도 역류질환은 바이러스성 식도염, 식도협착, 식도선암 등의 합병증이 동반될 있어 주의를 요하는환이다.

여러 연구에서 우리나라의 역류성 식도염의 유병률은 전체인구의 3.4~9%, 일본은 1.3~3.7% 로 추정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역류성 식도염의 위험인자로는 남자, 고령, 흡연, 고지방식이 등의 식습관, 비만, 식도열공탈장, 고지혈증, 고혈압 등이 있다. 식습관과 생활양식의 서구화, 그리고 비만인구가 증가하는 점이 역류성 식도염의 유병률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위에서 분비하는 위산이 역류하여 식도 점막에 자극을 주면 결국 위산에 약한 식도의 점막에 결손을 일으키게 된다. 하지만 위 식도 역류질환이 있는 환자의 과반수는 뚜렷한 점막 결손의 증거가 보이지 않아서 비미란성 식도염으로 명명된다. 여기서 미란이란 미세한 점막손상을 의미한다. 하지만 비미란성 식도염환자의 하부 식도를 자세히 보면 점막 결손은 아니지만 위점막 조각이 식도 점막에 있거나 위식도 경계부위가 두꺼워지거나 불분명한 변화를 관찰할 있다. 이를 포함하면 증상이 있는 환자의 대부분이 미세하나마 내시경적으로 이상 징후를 발견할 있다고 있다.

위식도 역류질환 전형적인 증상은 가슴 쓰림과 역류이다. 가슴 쓰림이란 흉골 뒷쪽이 타는듯한 증상이며, 역류는 위액이나 위 내용물이 목의 인두로 역류하는 현상을 말한다. 증상의 강도는 식도점막 손상의 정도와는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다. 비전형적인 증상으로는 흉통, 삼킴곤란, 삼킴통증, 만성적인 후두증상, 인후 이물감, , 목쉰 소리 식도 이외의 증상이 있다. 특히 강조할 점은 우리나라는 서구와 다르게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의 증상 중에서 속쓰림, 명치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우리나라의 한 연구에서 전형적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소화불량증 환자의 18.8%에서 역류성 식도염이 발견되었다.

위식도 역류질환에서 내시경은 역류성 식도염의 진단과 식도염의 중증도 구분에 꼭 필요하다. 가장 주의할 점 위식도 역류질환 증상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중 삼킴곤란, 삼킴통증, 체중감소, 위장관 출혈과 같은 경고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내시경 검사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그 밖에 위식도 역류질환의 진단검사로는 약물시도 검사, 보행성 식도산도검사, 임피던스 산도검사 등이 있다.

우리나라는 서구와 다르게 높은 위암 발생율을 가지고 있다. 위식도 역류질환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래서 무증상이라도 40세 이상이면 우리나라에서 위내시경 검사를 조기검진으로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나이에 관계없이 증상이 발생하거나 의심되면 가까운 병원을 방문해서 진료를 통해 위내시경을 시행하여 정확한 진단을 하고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하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44 "어깨통증, 관절내시경 수술로 해결할 수 있어요" 경영지원부 2025.08.20 357
43 발·발목(아킬레스건/족저근막/비골건염) 건강을 지키는 스트레칭&근력 강화 운동 경영지원부 2025.08.16 695
42 성조숙증의 치료-"관심이 필요한 우리 아이 성장 신호" 경영지원부 2025.08.13 489
41 간 건강을 위협하는 질환, '간섬유화와 지방간' 스캔검사로 예방하세요! 경영지원부 2025.07.28 843
40 "대상포진, 단순한 피부질환이 아닙니다" 경영지원부 2025.07.26 787
39 무더운 여름철 "대상포진, 후유증 없애려면 빠른 조기 치료가 중요" 경영지원부 2025.06.30 1,295
38 무릎 통증, 관절내시경 수술 경영지원부 2025.06.28 1,286
37 [건강칼럼] 골다공증의 모든 것 경영지원부 2020.07.10 4,830
36 단일공 복강경 수술(맹장염, 담석증, 탈장, 소화기질환 치료) 경영지원부 2020.06.12 6,020
35 척추 클리닉(신경외과) 경영지원부 2020.06.11 4,975
34 빠르고 통증이 적은, PPH 치질 수술 경영지원부 2020.06.05 6,188
33 소아 중이염 치료 경영지원부 2020.06.04 3,096
32 [건강칼럼] 기관지 천식 환자의 환경요법 경영지원부 2020.06.03 3,008
31 [건강칼럼] 치질(치핵) 수술 경영지원부 2020.06.03 7,121
30 [건강칼럼] 대상포진 경영지원부 2020.06.01 5,904
29 [건강칼럼] 대사증후군과 성인병 관리 경영지원부 2020.05.30 2,740
28 [건강칼럼] 치매 경영지원부 2020.05.29 2,446
27 [건강칼럼] 골다공증에 관하여 경영지원부 2020.05.28 2,380
26 뇌졸중은 어떤 병인가요? 경영지원부 2020.05.28 2,484
25 허리통증 신경치료-경막외 신경차단술 경영지원부 2020.05.27 4,971